Untitled Document
시민참여연구센터 로고
자료실타이틀
성명서보도자료
참터보고서
참터보유자료
과학기술이슈
뉴스레터소식지
사진자료
 
 
참터보유자료
  


 
[안전] 안전0016 - 독성학 개론(2002년 발행)
 작성자 : 참터자원
Date : 2007-11-27 02:27  |  Hit : 3,569  
제  목 : 독성학 개론(2002)
글쓴이 : 정현옥, 강명규, 나춘기, 이성희
펴낸곳 : 동화기술

제1장 독성학과 그 대상 독물
I. 독성학의 원리와 목적
1) 독성학의 범위
2) 화학물질의 유통량
II. 화학물질의 독작용
1) 폴로와 독성
2) 독성의 종류
3) 독성 평가에 필요한 정보
4) 화학물질의 위험성
III. 화학물질의 사용범위와 폭로 형태
1) 화학물질의 사용 분류
2) 직업형태에 의한 폭로의 차이
3) 사용구분에 의한 폭로노동의 차이
IV. 독성 평가의 필요 범위
1) 화학적 성질
2) 사용구분
3) 사용총량
V. 화학물질의 독성에 의한 분류
1) 독물, 극물
2) 독성학적 분류
VI. 화학물질의 동정과 물리화학적 성질
1) 화학물질의 동정
2) 물리화학적 성질

제2장 독물의 분류 및 독성
I. 대기중의 독성물질
1) 비오염 대기
2) 대기 오염물질의 분류
3) 대기오염물질의 원천
4) 사람의 건강 장해의 대표적 예
5) 동, 식물계에 미치는 영향
6) 기타 경제적 손실
7) 기후에 미치는 영향
II. 토양 및 수질 오염물질
1) 오염원
2) 오염물질의 환경독성
III. 식품 첨가물 및 식품중 오염물질
1) 색소 첨가물
2) 항산화제
3) 보존제
4) 조미료
5) 인공 감미료
6) 비의도적 첨가물
IV. 농약
1) 농약의 분류
2) 유기염소계 살충제
3) 유기인산계 살충제
4) Carbamate계 살충제
5) 식물성(자연) 살충제
6) 제초제
7) 항진균제
8) 살서제
9) 훈증제
V. 치료제
1) Barbiturate계 진정 수면제
2) Benzodiazepine계 진정 수면제
3) 심환계 항우울제
4) Amphetamine
5) 마약
VI. 유기 용제
1) 지방족 탄화수소 화합물
2) 측쇄형 할로겐화 화합물
3) Alcohol류
4) Glycol류 및 그 유도체
5) 방향족 탄화수소 화합물
VII. 중금속
1) 납
2) 수은
3) 카드뮴
4) 그롬
5) 비소

제3장 독성시험의 계획과 실시
I. 독성시험의 목적과 기준
1) 독성시험의 실시 목적
2) 독성시험 기준
II. 시험방법의 확림
1) 시험성적으 LWOGUS성
2) 시험기준의 설정 순서
III. 독성시험의 계획과 실시
1) 시험계의 확보와 유지
2) 독성시험에 있어서 대조
3) 시험의 계획과 실시
4) 시험결과의 평가

제4장 일반 독성
I. 급성 독성시험
1) 시험의 평가
2) 시험의 실시
3) 급성 독성의 평가
II. 상승작용의 검출
1) 상승작용의 검출
2) 상승작용의 검출 시험법
III. 단기 독성시험
1) 시험의 성격
2) 예비시험
3) 단기 독성시험의 계획
4) 관찰 항목
5) 단기 독성의 평가
6) 회복시험
IV. 장기 독성시험
V. 독성시험에 있어서 병리 검사
1) 병리검사의 의의
2) 병리검사 순서
3) 조직 병변의 평가

제5장 변이원성
I. 유전기구
1) DNA
2) 유전자
3) 염색체
4) 세포 주기
5) 감수분열
II. DNA, 염색체 손상과 회복
1) DNA 손상
2) 염색체 이상
3) DNA 회복
III. 변이원성 검출의 방법
1) 시험법의 종류
2) 변이원성 물질의 활성화
3) 시험법의 선택
IV. 주요 시험법
1) Ames, 살모넬라 법
2) Moise, Lymphoma TK 돌연변이
3) 포유동물 배양세포 염색체 이상으 LRJACNF
4) 소핵법
5) 우성 치사법
6) 세균에 있어서 DNA 회복 시험
7) 자매 염색분체 교환
8) 부정기 DNA 합성
9) 특정 좌위법과 Spot test
V. 인류에 있어서 유전자 pool의 monitor법
1) 돌연변이 monitor

제6장 최종양성(발암성
I. 화학발암
1) 서론
2) 화학발암 연구의 역사
II. 최종양성 물질의 범위와 특징
1) 최종양성 물질의 원리
2) 발암작용의 특생
3) DNA 손상과 발암성
III. 발암물질의 분류
1) 유전자 독성물질
2) 유전자 독성 이외의 기전에 의한 발암물질
IV. 대표적 발암물질의 순서
1) 직접 작용형 발암물질
2) 간접 작용형 발암물질
3) 무기성 발암물질
4) 고체발암물질
5) 호르몬
6) 면역 억제물질
7) 발암 협력물질
8) 발암 촉진물질
V. 화학물질에 의한 발암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
1) 상호작용
2) Virus 발암
3) 숙주 발암
4) 용량
5) 면역
VI. 화학물질의 발암성 평가
1) 화학구조
2) in vitro 단기 시험
3) 단기 발암성 시험
VII. 최종양성 시험
1) 목적
2) 장기 독성시험과의 합병
3) 동물 종
4) 계통과 back ground
5) 시험방법
6) 결과의 평가
VIII. 흰쥐와 생쥐의 주요 종양성 병변
1) 병변의 특이성
2) 양성 종양과 악성 종양
3) 자연발생 종양
4) 소화관
5) 간
6) 신장
7) 방광
8) 폐
9) 유선
10) 신경계
11) 조혈계
12) 갑상선

제7장 번식 독성
I. 번식독성과 그 범위
1) 서론
2) 번식의 단계
II. 주요 번식독성
1) 정자 형성
2) 난자 형성
3) 생식자 형성에 대한 화학물질 폭로
4) 수정과 초기 배
III. 생식기관에 있어서 화학물질의 동태
1) 혈액, 정소 장벽
2) 난세포로의 화학물질 이행
3) 기관 형성기와 타자기
4) 중성으로의 이행
5) 화학물질 대사능
6) DNA 회복
IV. 번식독성 시험법
1) 2세대 시험법
2) 우성 치사법

제8장 최기형성
I. 선천성 이상과 발생 원인
1) 선천성 이상
2) 최기형성 물질
II. 화학물질의 태아 이행
1) 태반의 종류
2) 혈액, 태자 장벽
3) 태반의 능동적 수송
4) 태반, 태자의 대사활동
5) 배자 이행
6) 포배 이행
III. 화학물질의 최기형성
1) 발생의 단계
2) 발생 단계와 화학물질의 작용
3) 위험기
4) 용량, 반응 관계
5) 최기형성 물질의 작용기전
IV. 최기형성 시험
1) 최기형성 시험
2) 주산기, 포유기 시험

제9장 흡입 독성
I. 서론
II. 호흡기의 구조와 기능
1) 호흡기의 구조
2) 호흡기의 생리
3) 폐의 대사활동
III. 기체와 증기
1) 농도 표현
2) 기체 폭로와 방어
3) 다른 경로의 폭로에 의한 폐장해
IV. 입자상 물질
1) Aerosol의 종류
2) 농도 표현
3) 입자크기와 분표
4) 입자의 기도벽 침착기구
5) 입자의 Clearance
V. 흡입독성에 의한 폐의 주요 손상
1) 기도 자극
2) 점막상피 괴사
3) 섬유증
4) 초과민성 기도자극
5) 폐암
VI. 흡입독성 시험
1) 시험장치
2) 시험동물
3) 급성 흡입독성 시험
4) 단기 흡입독성 시험
5) 개체 용량

제10장 장 부, 점막 독성
I. 서론
II. 화학물질의 경파 흡수
1) 피부의 구조
2) 흡수에 영향을 주는 내부 요인
3) 흡수에 영향을 주는 화학물질
4) 피부와 대사능력
5) 경피 흡수의 독성지표
III. 피부의 국소반응
1) 1차 자극성
2) 광과민성
3) 피부 경파독성 시험
IV. 경피독성 시험
1) 급성 경피 독성 시험
2) 단기 경피 독성 시험
V. 피부, 점막 국소 독성 시험
1) 피부 1차 작극성 시험
2) 안점막 1차 자극성 시험
3) 과민성 시험

제11장 기타 특서 독성
I. 자연성 신경 독성
1) 서론
2) 독성의 특징
3) 시험동물
4) 독성 발현에 영향을 주는 요인
5) 독성 발현 기전
6) 급성 자연성 신경독성 시험
7) 단기 신경독성 시험
II. 간각기 독성
1) 서론
2) 시각정해 시험
3) 청각장해 시험
4) 미각,후각장애 시험
5) 평형감각
III. 생체 기능 시험
1) 서론
2) 목적
3) 시험물질 투여 제형
4) 투여계획
5) 시험항목
6) 시험결과의 평가

제12장 생체내 독성
I. 생체내 동태 시험의 목적
1) 서론
2) 독성시홈과의 관계
II. 생체내 동태 제 1상 시험
1) 시험물질
2) 시험방법
3) 채내 동태학적 해석
4) 표식 화합물을 이용하지 않은 경우
III. 제 2상 이후의 시험
1) 사람에 있어서 대사 동태의 예측
2) 대사물의 동정
3) 활성화 물질
4) 효소 유도

제13장 환경중 동태와 환경생물 독성
I. 황경중 동태
1) 환경의 구분
2) 화학물질 오염원
3) 환경중 동태을 지배하는 요인
4) 농약의 환경중 동태
II. 생물농축 시험
1) 농축 시험의 의의
2) 농축의 동태계수
3) 농축율 측정법
III. 어독성 시험
1) 급성 어독성 시험

제14장 화학물질의 독성 평가와 허용농도
I. 허용 농도
1) 공장내 작업장 허용농도
2) 식품중 허용농도
3) 환경중 허용기준
II. 독성의 종류와 평가
1) 독성작용과 역치
2) 독성시험의 필요 범위
3) 독성 평가의 순서
III. 최종양성 물질의 실질 안전 농도
1) 잠복기 모델
2) Probit법
3) 직성 외삽법
4) Multi-hit 모델
5) 실질 안전농도 설정의 배경
IV. 위험와 이익의 평가

제15장 법규
I. 화학물질을 규제하는 법규
1) 약사법
2) 독,극물 관리법
3) 식품 위생법
4) 농약 관리법
5) 산업안전보건법
6) 화학물질 심사규제법
7) 환경관리 법규(환경보전법 등)
8) 기타
9) 각국의 화학물질 규제

찾아보기

 
   
 
















 

시민참여연구센터 | 주소 : (34169) 대전광역시 유성구 계룡로55 유성자이 135호 | 전화 : 042-863-2097 | 팩스 : 042-863-2098 | 이메일 : cpprkr@naver.com

※ 후원계좌 : 468401-04-025411(국민은행 / 예금주 시민참여연구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