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시민참여연구센터 로고
자료실타이틀
성명서보도자료
참터보고서
참터보유자료
과학기술이슈
뉴스레터소식지
사진자료
 
 
뉴스레터, 소식지
  


 
[뉴스레터] [2020년 참터 소식 6월 2호] 플라스틱 줄이GO!, 환경살리GO! 6월 계획
 작성자 : 참터
Date : 2020-06-01 16:06  |  Hit : 1,501  

<플라스틱 줄이GO! 환경 살리GO!>은 6월 동안 담배꽁초 무단투기 현황 매핑청소년 활동단 및 시민참여단 모집과캠페인 활동 진행, 플라스틱 빵칼 수거 캠페인, 그리고 이들 활동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관련 기업체 및 기관과의 사전 협력 협의 활동을 진행하게 됩니다.

 

담배꽁초 무단투기 현황 매핑청소년 활동단 및 시민참여단 모집은 61~ 67일에 걸쳐 진행됩니다. 캠페인 활동 집중기간은 68~ 621일이며, 1231일까지 꾸준히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회원 여러분들께서도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매핑 사이트; https://cmaps.livingscience.kr/

* 매핑 사이트 사용법: http://bitly.kr/mSbQDf0XDr

 

1. 담배꽁초 무단투기 현황 매핑” 청소년 캠페인 활동단 모집

신청기간 : 202061~ 67(1365를 통해)

활동기간 : 202068~ 621

활동대상 : 대전지역 중·고등학생과 이에 준하는 청소년

활동횟수 : 활동기간 내 세부내용 활동 2회까지 가능

자원봉사시간 부여 : 매핑 활동 세부내용 전체 1회 이행 시 2시간, 2회 이행 시 4시간 부여(활동 마감 후 일주일 내 1365 통해)

세부내용

1) 우리 주변의 담배꽁초 무단투기 현황 사진을 찍어 매핑 사이트에 올린다.

게시 사이트: https://cmaps.livingscience.kr/

- 사진 등록 시 메모란에 성명기입(성명이 없을 시 확인이 불가하여 활동인정이 안됨)

2) 최소 10곳 이상의 장소를 선정하여, 한 장소에서 사진 1장 이상을 찍어 올린다.

3) 버려지는 테이크아웃 커피·음료 컵 또는 500ml PET병에 담배꽁초를 담아 1장 이상 사진을 찍어 올린다.

게시 사이트: https://www.facebook.com/groups/PlasticAge/?ref=share

- 수거한 담배꽁초의 양은 최소한 용기의 2/3 이상이어야 함

예시홍길동

  활동지역 : 유성구 봉명동에서 담배꽁초 수거 활동한 사진입니다.

  활동소감 : 매핑 활동 중 느낀 점을 자유롭게 작성해 주세요.

★ 1~3번의 활동을 모두 완료한 경우 봉사활동 1회로 인정하며, 2회까지 활동가능

 

2. 담배꽁초 무단투기 현황 매핑” SNS 시민참여단 모집

활동기간 : 202068~ 1231

활동대상 : 대전 시민

세부활동내용

1) 우리 주변의 담배꽁초 무단투기현황 사진을 찍어 매핑 사이트에 올린다.

- https://cmaps.livingscience.kr/

2) 버려지는 테이크아웃 커피·음료 컵 또는 500ml PET병에 담배꽁초를 담아 사진을 찍어 올린다.

- https://www.facebook.com/groups/PlasticAge/?ref=share

* 활동 사진을 올린 후 참터 사무실 방문 시 대나무 칫솔 2개를 감사의 선물로 드립니다.

 

플라스틱 빵칼 수거 캠페인은 관련 기업체 및 기관과 사전 협의를 통해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 참터에서 제작한 수거함을 기업체, 기관 및 제과점 등에 설치 요청하여 수거활동을 펼칠 예정입니다. 이 과정에서 불필요한 빵칼의 소비와 수거 현황을 점검하고 기업체 및 제과점의 제공방식의 변화, 그리고 궁극적인 목표로는 제품 생산 과정에서의 변화를 이끌어내면서 기관의 행정적/제도적 변화를 이끌어내는 활동을 펼쳐보고자 합니다.


  이름 비번 비밀
 
   
 
















 

시민참여연구센터 | 주소 : (34169) 대전광역시 유성구 계룡로55 유성자이 135호 | 전화 : 042-863-2097 | 팩스 : 042-863-2098 | 이메일 : cpprkr@naver.com

※ 후원계좌 : 468401-04-025411(국민은행 / 예금주 시민참여연구센터)